목록2024/04/30 (2)
개발놀이터
이번엔 HTTP Request 에서 강타입을 활용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합니다. 스프링은 백엔드 서버로 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수많은 API들을 가지고 있고 그 API마다 프론트에서 원하는 포맷으로 데이터를 쏴주는 역할을 하죠. 보통 프론트엔드와 통신을 할 때 HTTP 통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통 회사에서 RESTful 하게 API를 만들고 Request를 json으로 받곤합니다. 이때! 자바의 강타입을 활용하면 큰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강타입을 활용해 HTTP Request 를 안정적으로 받는 방법과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Validation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까지 보너스로 알아보도록하죠! 시작은 늘 그렇듯 상황을 가정하고 들어갑니다. 이번엔 특별히..
이번엔 방법론에 대해서 포스팅해볼 생각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강타입 언어와 약타입 언어. 흔히 알려지기론 로우레벨, 하이레벨로 나누는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강타입 언어는 타입이 딱딱 정해져있는 언어입니다. 자바나 C계열을 사용하신다면 int, String, long, boolean 이런 타입들이 익숙하실겁니다. 이렇게 딱딱 정해져있는 것이 바로 강타입 언어입니다. 강타입 언어에는 C, C++, C#, Java 정도가 있습니다. 물론 더 있지만 제가 아는 선에선 이거밖에... 약타입 언어는 타입이 런타임에 정해지는 언어입니다. 자바스크립트나 파이썬을 사용하신다면 익숙한 var 같은 타입이 바로 약타입입니다. 약타입 언어에는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코틀린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