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타/GPT야 이것좀 알려줘 (3)
개발놀이터
보통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JWT를 이용해서 인증을 하고있다고합니다. JWT를 한글이던 영어던 구글링을 해보면 모두같이 JWT를 stateless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JWT를 쓰고 있던 와중 갑자기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게 stateless야? JWT는 정말 stateless인가?왜 이런 의문이 들었냐면 access token (이하 AT)이 만료되는 순간 refresh token (이하 RT)를 확인해서 다시 AT를 재발급 하는 과정에서 의문이 들었습니다. RT를 확인할 때 우리는 이 사용자와 관련된 즉, 이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만들었던 RT를 찾기위해 결국 사용자의 정보를 가지고 RT를 검색합니다. 이 RT는 데이터베이스에 오랜시간 저장되어있으면서 사용자에게 계속 AT를 발급해주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lRbf/btseGDxGVGT/RSCd5G9m86a3m3CPIw9SIK/img.png)
요즘 MicroService Architecture (이하 MSA) 에 관심이 생겨서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에 Kafka라는 서비스를 알게되었습니다. 쉽게 얘기하면 각각 떨어져있는 서비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존 카프카가 없을 때 메시지를 보내려면 위와 같이 모든 컴포넌트가 메시지를 쏴줘야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딱봐도 문제가 있게 생겼습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보내게 되면 데이터 복잡성이 증가하겠죠. 하지만 카프카가 도입되면서 메시지를 보내는쪽 (Publisher) 과 메시지를 받는쪽 (Subscriber) 을 나누고 카프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조금 더 편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메시지 브로커 (메시지 큐잉 서비스) ..
트위터에서 개발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Go를 사용해서 치명적인 버그가 발생했다. 그에비해 Rust는 아주 대단한 언어다. 라는 글을 몇개 본적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분은 운영체제만큼은 C로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마이크로소프트가 터미널 커널을 C에서 Rust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게시글을 첨부하며 Rust를 찬양(?) 하는 모습도 보여줬습니다. 문득 궁금하더군요 Rust와 Go의 차이가 무엇이고 왜 Go는 멸시받고 Rust가 흥하게 되었는지말이죠. 이번 카테고리는 새롭게 출범하는 "GPT야 이것좀 알려줘" 입니다. 제 블로그 주제 (자바, 스프링, CS, 알고리즘문제) 와 어긋나는 주제들 하지만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들을 GPT를 통해 더블체크없이 단순히 상식을 쌓아가는 느낌으로 공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