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배포/Apache Kafka (5)
개발놀이터

카프카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은 아마 이게 끝일 것 같습니다. 아파치 카프카 카테고리는 개념, 심화, 응용을 마지막으로 이제 실습을 해볼 예정입니다. 이번 응용편에선 이렇게 진행됩니다. Unclean Leader Election의 위험성과 사용 여부 판단Offset 관리 전략성능 최적화 및 튜닝카프카 스토리지와 OS 레벨 연계이렇게 네가지 섹션으로 이루어집니다. 한번 천천히 정리해보겠습니다. Unclean Leader Election카프카는 장애시 ISR에서 리더 파티션을 새로 뽑아 장애 상황에 최적화된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만약 ISR에 뽑을만한 리더 파티션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럴 때 개발자는 Unclean Leader 즉, ISR에 없는 파티션 중 리더로 선출할 수 있도록합니다. ..
요즘은 카프카와 NoSQL을 공부하고 있는데 카프카는 특히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왜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는지 알 것 같습니다.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왜 쓰는지 이해가 된달까요.. 이번 포스팅에선 카프카와 AWS SQS, SNS와 비교하면서 왜 카프카가 대용량 메세지 처리에 능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카프카 vs SQS, SNS왜 다른 메세지 큐도 아니고 SQS냐하면 RabbitMQ는 메세지를 소비할 곳을 세밀하게 조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대용량으로 비동기 메세지 처리를 하는데 특화되어있지는 않습니다. 다른 메세지 큐인 Redis의 Pub/Sub 또한 대용량 비동기 메세지 처리에 특화되어있지 않기도 하구요. 그런 의미에서 SQS와 SNS를 조합한 메세지 큐잉 서비스는 완전..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파치 카프카에 대해서 개념만 잡았던 이전 포스팅에 이어 조금 딥한 내용을 공부해보고 정리해보았습니다. 처음엔 카프카의 구성 요소를 짧에 짚고 넘어가고 이후 카프카의 주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파치 카프카카프카의 구성요소로는 Broker, Topic, Partition, Producer, Consumer, Consumer Group이 있습니다. 하나씩 간단하게만 정리해보겠습니다. 브로커 : 브로커는 카프카가 설치되어있는 물리적인 서버에 해당합니다. 이런 브로커들이 모여서 카프카 클러스터가 되는데 이 브로커는 카프카 그 자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토픽 : 메세지가 저장되어있는 "논리적인" 공간입니다. 메세지를 생산하는 프로듀서는 이 토픽을 바라보고 생산하고 컨슈머는..

마이크로 서비스와 메세지 브로커는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서로 다른 도메인이 여러개의 서버로 나눠져 있는 상황에서 모든 서버에 동일하게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메세지 브로커만한게 없죠. 그렇기에 모놀리식에서는 메세지 브로커를 사용하는게 오버엔지니어링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세지 브로커의 근심과 걱정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보고 정리해봤습니다. 메세지 브로커https://coding-review.tistory.com/504 아파치 카프카 (개념)저번 포스팅에서 파트2를 시작하면서 메세지 브로커의 장을 열었습니다. 메세지 브로커를 이용해서 서버간 통신을 조금 더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어떤 모델이 있는지 알았습coding-review.tistory.com메세지 브로커..

저번 포스팅에서 파트2를 시작하면서 메세지 브로커의 장을 열었습니다. 메세지 브로커를 이용해서 서버간 통신을 조금 더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어떤 모델이 있는지 알았습니다. 이번엔 Pub/Sub 메세징의 대표주자 아파치 카프카 (Apache Kafka) 에 대한 개념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트렌드 위의 그래프는 구글 트렌드에서 검색한 Kafka와 RabbitMQ에 대한 트렌드 추이입니다. 기본적으로 Kafka에 대한 검색량이 높고 특징으로는 2022년에 들어오면서 갑자기 70퍼센트대로 올라왔다는 것이 눈에 띕니다. 이는 한국에서 보이는 추이이고 이번엔 글로벌로 보겠습니다. 글로벌도 상황은 비슷해보이네요. 역시 2022년에 카프카에 대한 수치가 올라간 것이 특징입니다.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