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9/15 (2)
개발놀이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dSPZ/btsJEiIUKMz/cYKYTy4EEnuNCDbNtZGP1K/img.png)
이번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긴 실습 과정을 정리해보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워커 노드를 설정하면 kubectl 명령어를 곧바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쿠버네티스의 인증, 인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에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정리되어있습니다!https://coding-review.tistory.com/549 쿠버네티스 이론 : 인증, 인가쿠버네티스는 쿠버네티스와 관련된 명령어를 사용할 때 마스터 노드에 존재하는 API Server를 지나가게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곳에서든 kubectl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면 이는 보안적coding-review.tistory.com 워커 노드에서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지금 kubectl 명령어를 이용해서 실습을 하고있는데 minikube로 쿠버네티스를 간단하게 설치하고 몇번 만져봤습니다. 현재 진행정도는 MySQL을 배포하고 DBeaver로 붙어보는것, Spring Boot를 배포하고 API로 접근해보는 것 까지입니다. 왜 진행상황을 언급했냐면 이 과정이 순탄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무엇보다 minikube라는 것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환경을 한 컴퓨터에 로컬에 컨테이너 형태로 구축해주는 것입니다. 즉, 쿠버네티스는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노드들은 사실 원래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된 컴퓨터여야합니다. AWS로 치면 각각 다른 EC2인스턴스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minikube는 이 노드들 (컴퓨터)을 한 컴퓨터에 컨테이너 형식으로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