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79

2023-03-06 영어공부

consecutive : 연속적인 / 일관된 substitute : 대신쓰다, 대체하다 / 바꾸다 in terms of : ~인 측면에서 negate : 부정하다 / 취소하다 abort : 유산(낙태)하다 / 중단하다 rigorous : 엄격한 / 혹독한 mature : 성숙한 / 잘 익은 / 완전히 발달한 ephemeral : 명이 짧은 / 덧없는 recursive : 순환의 stand out : 두드러지다 integrity : 고결 / 성실 / 청렴 -> 컴퓨터사이언스에선 데이터 무결성과 같이 사용 duration : 지속 / 계속 conversion : 전환 / 변환 numerous : 다수의, 수많은 This level is different from Read Committed in that a ..

기타/영어공부 2023.03.06

2023-03-04 영어공부

Subsequent : 이후, 그후 intact : 손대지 않은, 손상되지 않은 populate : 거주시키다 / 장소를 차지하다 diminish : 감소하다 / 권위가 떨어지다 bloated : 부풀어오른 / 오만한 intuitive : 직관적인 simultaneous : 동시의 coordinate : 조정하다 / 동등한, 대등한 exclusive : 독점적인 ↔ exclusion : 제외, 베재, 추방 precede : 앞서다 / 우선하다 -> preceding : 이전의 span : 기간 purged from : ~에서 제거된 denotes : 표시하다, 나타내다 / 의미하다 One way is to create a new table and pre-fill it with data to act as ..

기타/영어공부 2023.03.04

2023-03-02 영어공부

certification : 인증 / 증명 interoperate : 상호 운영하다. facilitate : 용이하게 하다 obsolete : 쓸모없는 / 진부한 relevant : 관련된, 적절한 / 상응하는, 상대적인 reassembling : 재조립 단어만 알면 해석되는 경우가 많았었기 때문에 단어만 정리하고 해석은 올리지 않습니다. 공부한 문서 https://www.imperva.com/learn/application-security/osi-model/ What is OSI Model | 7 Layers Explained | Imperva The OSI model describes seven layers that computer systems use to communicate over a netw..

기타/영어공부 2023.03.02

2023-02-27 영어공부

configure : 구성하다 / 배열하다 / 설정하다 evident : 분명한, 명백한 transitive : 의존적인 / 의지하는 / 타자의 동작을 이행하는 include : 포함하다 / 내포하다 optimization : 최적화 comes with : ~와 함께 제공된다. fetch : 가지고 오다 / 의식을 회복시키다 / 설득하다 explicit : 명시적 allow : 허락하다, 묵인하다 / (정기적으로) 지급하다 / 인정하다 / 참작하다 compromised : 타협하다 integrity : 고결, 성실, 청렴 / 완전한 상태 demarcate : 분리하다, 구별하다 compelling : 강제적인 / 흥미를 돋우는 / 어쩔 수 없는 At the most basic level, a connec..

기타/영어공부 2023.02.27

2023-02-25 영어공부

exceed : 초과하다 abbreviate : 단축하다, 생략하다 attempt : 시도하다 / 기도하다 / 꾀하다 retrieval : 회복, 복구, 만회 / 수정 / 사전에는 안나오지만 검색이라는 뜻도 있음 alleviate : 덜다, 완화하다 vastly : 대단히 크게 we should favor the Deque interface and its implementations. 우리는 Deque의 인터페이스와 Deque의 구현체들을 주로 사용해야합니다. favor : 선호하다 / 호의 -> 대충 의역했는데 아무리봐도 선호하다나 호의로 해석하면 이상하단 말이지... First, we'll take a peek at what a Queue does, and some of its core methods..

기타/영어공부 2023.02.25

2023-02-23 영어공부

preserve : 보호하다 / 보존하다 / 지키다 descendant : 자손 / 후예 incur : 초래하다 / 지다 (빚을 지다) represent : 의미하다 / 나타내다 / 대표하다 propagation : 번식, 증식 / 전파 comprise : 포함하다 / 의미하다 / 구성되다 The LinkedHashSet saves the client from the unpredictable ordering provided by HashSet, without incurring the complexity that comes with a TreeSet. HashSet에 의하여 제공된 예측불가능한 순서로부터 클라이언트(개발자)를 보호한다. TreeSet과 같은 복잡성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의역 -> TreeSe..

기타/영어공부 2023.02.25

2023-02-18 영어공부

Maps are naturally one of the most widely style of Java collection Map은 기본적으로 Java Collection 중 가장 대중적인 것 중 하나이다. And, importantly. HashMap is not a thread-safe implementation. while Hashtable does provide thread-safety by synchronizing operations. 그리고 중요하다. Hashtable은 synchronizing 동작을 이용해 thread-safety 한 반면에 HashMap은 thread-safe 하지 않은 구현체이다. Even though Hashtables is thread safe. it is not ver..

기타/영어공부 2023.02.25

4장 주요개념 및 복습

주요 개념은 HashMap으로 HashMap에 관련된 내용은 해당 포스팅 참조 https://coding-review.tistory.com/277 Map 자료구조 오늘은 알고리즘 문제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실전에서도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져있는 Ma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p 맵은 사전과 비슷합니다. people이란 단어에 "사람", baseball이란 단어 coding-review.tistory.com 전체적인 문제들은 HashMap을 적절히 사용하면 되는 문제였다. 마지막 문제는 Set을 사용하는 문제도 나오지만 Set은 추후 다룰예정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중복을 제거하는) 자료구조로 많이 사용한다. 그 중 TreeSet은 정렬이 포함된 자료구조 개인적으로 생..

4-5. K번째로 큰 수

package HashMap그리고TreeSet4장.K번째로큰수4다시5.my;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public class Main { /** * Set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풀리는 문제 * Set 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거기다 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싶다면 TreeSet 을 사용하면 된다. * TreeSet 은 선언하고 입력받는 것들을 정렬해준다. * 비슷한 것으로 TreeMap 이 있다. * * 자세한 내용은 선생님의 풀이 참고고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int n = kb.nextInt(..

4-4. 모든 아나그램 찾기

package HashMap그리고TreeSet4장.모든아나그램찾기4다시4.my;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 * 피드백 할 것 없음 이전 문제와 완벽히 동일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kb = new Scanner(System.in); String input1 = kb.next(); String input2 = kb.next(); System.out.println(solution(input1, input2)); } private static int solution(String input1, String input2) { int 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