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3

전통적인 ACID와 분산 시스템에서의 ACID

데이터베이스 포스팅이 벌써 50개를 넘어섰는데요. 단일 카테고리로는 두번째 양인데요. 첫번째는 Spring인데 조금 허수가 있는게 영한님 영상을 보면서 복사 붙여넣기 했던 포스팅이 15개정도 그리고 본격적으로 다시 보면서 공부한게 또 20몇개정도 되니 허수가 있죠. 하지만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는 그런 허수없이 50개를 넘어섰으니 정말 많이 썼습니다. 그만큼 제가 데이터베이스 공부를 정말 좋아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면서 트랜잭션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많이 썼는데요. "스프링 내부적인 트랜잭션 동작 방식"이나 "PostgreSQL이 @Transactional과 어울리지 않는다"나 "@Transactional로 분산 트랜잭션을 구현할 수 있을까?" 같은 내용이 바로 그러하죠. 근데 이 ..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의 미래 AWS Aurora DSQL

오랜만에 제가 좋아하는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신기술이 나왔습니다. 처음엔 영상으로 접했는데 그냥 AWS에서 신기술 냈구나 정도로 생각했지만 계속 영상을 보면서 흥미를 가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Serverless RDBMS라고? 이게 무슨 혼종이지? 싶었죠. 오늘은 AWS Aurora의 후속 버전,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의 미래 AWS Aurora DSQL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는 포스팅을 작성해보려고합니다. AWS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역사AWS는 처음엔 RDS를 선보였습니다. 이는 단순히 오픈소스로 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이용해서 RDBMS를 구축한 것에 불과했죠. AWS RDS를 시작으로 점점 사용자들은 다양한 니즈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2009년에 RDS가 선보인 것을 시작으..

DevOps/AWS 2025.07.08

MSA에서 Kafka 유연하게 설계하기 (쓰기 연산 부하 편)

MSA 사고실험 첫번째 포스팅인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이어 두번째는 Kafka를 유연하게 설계해보았습니다. 보통 MSA에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카프카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카프카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보다 설계에 초점을 맞추게 되다보니 두 가지 관점에서 카프카를 바라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바로 쓰기 연산이 주를 이루는 애플리케이션과 읽기 연산이 주를 이루는 애플리케이션 이렇게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보통 쓰기 연산에 부하가 많이 가는 채팅앱, 읽기 연산이 자주 일어나는 쇼핑몰과 SNS처럼 두 가지 관점에서 설계를 해보려 합니다. 주의!!제 얄팍한 지식으로 설계하는만큼 실제 아키텍처를 공부하는게 아니고 직접 설계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쓰는 포스팅임을 알립니다. ..

DevOps/사고실험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