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55

면접 준비 : 정적 (static)

Q. 정적 (static) 이란 무엇인가요? A. static은 클래스 변수라고 하고 정적 변수라고도 합니다. static은 클래스로더가 클래스를 로딩해서 메소드 메모리 영역에 적재할 때 클래스별로 관리됩니다. static 키워드를 사용해서 생성된 정적 멤버들은 PermGen이나 Metaspace에 저장되고 저장된 메모리는 모든 객체가 공유하면서 하나의 멤버를 어디서든지 참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GC의 관리 영역 밖에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메모리가 할당된 채로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남발하면 시스템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꼬리질문 Q. PermGen이나 Metaspace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 PermGen이나 Metaspace모두 메타정보를 모아두..

정적 (static)

static Java에서 static 키워드를 사용한다는 것은 메모리에 한번 할당되어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만든 class는 static 영역에 생성되고, new 연산자를 통해 동적할당된 객체들은 Heap 영역에 생성된다. 객체의 생성시에 할당된 Heap영역의 메모리는 GC를 통해 수시로 관리를 받는다. 하지만 static 키워드를 통해 static 영역에 할당된 메모리는 모든 객체가 공유하는 메모리라는 장점을 가지지만, GC의 관리 영역 밖에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종료시까지 메모리가 할당된 채로 존재한다. 때문에 너무 남발하면 시스템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Java 2022.07.28

Cafe24 배포 중 OutOfMemoryError : Metaspac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배포만 하면 완료되는 상황에서 배포를 했는데 OutOfMemoryError를 만났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homeController' defined in file [/ks3254/tomcat/webapps/ROOT/WEBINF/classes/com/foryou/onlyonepagewithyou/controller/HomeController.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

오류해결 2022.07.27

면접 준비 : 어노테이션

Q. 어노테이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A. 어노테이션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문법으로 주석처럼 코드에 달아 클래스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기능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물어보면 대답하기 어노테이션의 종류로는 내장어노테이션, 메타어노테이션, 사용자정의 어노테이션이 있습니다. 내장 어노테이션은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 메타어노테이션은 어노테이션을 위한 어노테이션으로 어노테이션이 적용될 위치나 어느시점까지 적용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사용자정의 어노테이션은 메타어노테이션을 이용해 만든 커스텀 어노테이션입니다. https://coding-review.tistory.com/131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의 정의 애노테이션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문법으로 주석처럼 코드에 달..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의 정의 애노테이션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문법으로 주석처럼 코드에 달아 클래스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기능을 주입할 수 있다. 어노테이션의 종류 어노테이션에도 종류가 있다. 내장 어노테이션 : 자바가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어노테이션 메타 어노테이션 : 어노테이션을 위한 어노테이션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 :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는 어노테이션 내장 어노테이션 메타 어노테이션을 제외한 내장 어노테이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Override @Deprecated @FunctionalInterface @SuppressWarnings 이제 하나씩 살펴보자 @Override 오버라이딩을 올바르게 했는지 컴파일러가 체크해준다. Override 어노테이션은 오버라이딩 할 때, 메서드의 이름을 잘못 적..

Java 2022.07.20

면접 준비 : 제네릭

Q. 제네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A. 제네릭은 자바의 타입 안전성을 맡고 있습니다. 컴파일 과정에서 타입체크를 해주는 기능으로 객체의 타입을 컴파일 시에 체크하기 때문에 객체의 타입 안전성을 높이고 형변환의 번거로움을 줄여줍니다. https://coding-review.tistory.com/129 제네릭 제네릭 자바에서 제네릭이란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네릭은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컴파일 시 coding-review.tistory.com

제네릭

제네릭 자바에서 제네릭이란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네릭은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컴파일 시에 미리 타입 검사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클래스나 메소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타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반환값에 대한 타입 변환 및 타입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자바5 이전에는 여러 타입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인수나 반환값으로 Object타입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반환된 Object객체를 다시 원하는 타입으로 타입 변환해야 하며, 이때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하지만 자바5부터 도입된 제네릭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에 미리 타입이 정해지므로, 타입 검..

Java 2022.07.17

면접 준비 : 컬렉션 프레임워크

Q.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 자바 컬렉션은 널리 알려져 있는 자료구조를 바탕으로 객체,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들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컬렉션 프레임워크라고 합니다. List, Set은 컬렉션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지만 Map 인터페이스는 구조상의 차이라 별도로 정의합니다. https://coding-review.tistory.com/127 컬렉션 프레임워크 (Collection Framework)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배열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가지 비효율적인 문제가 생긴다. 가장 큰 문제점은 크기가 고정적이라는 것이다. 배열의 크기는 생성할 때 결정되며 그 크기를 넘어가게 되면 coding-review.tistory.com

컬렉션 프레임워크 (Collection Framework)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배열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가지 비효율적인 문제가 생긴다. 가장 큰 문제점은 크기가 고정적이라는 것이다. 배열의 크기는 생성할 때 결정되며 그 크기를 넘어가게 되면 더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또 데이터를 삭제하면 해당 인덱스의 데이터는 비어있어 메모리가 낭비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그렇기에; 자바는 배열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널리 알려져 있는 자료구조를 바탕으로 객체나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들을 만들어두었다. 이러한 자료구조들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컬렉션 프레임워크라고 한다. 대표적으로는 List, Set, Map, Stack, Queue등이 있다. List 컬렉션 컬렉션 프레임워크를 상속받고 있는 List컬렉션은 객체를 일렬로 늘어..

Java 20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