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55

스프링 @Autowired, @Component, @Qualifier, @Primary

*@Autowired 스프링 빈의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Component 어노테이션으로 컴포넌트 스캔으로 등록된 클래스에서만 사용이 가능 하다. 컴포넌트 스캔으로 등록되지 않은 클래스에서 Autowired만 선언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기존의 @Bean을 이용하여 스프링빈에 등록하고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것보다 훨씬 편한 방법으로 의존관계를 주입할 수 있다. 객체지향언어가 가져야할 원리다섯가지 SOLID의 D에 해당하는 DIP에 부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Component 컴포넌트 스캔을 실행할 때 스캔 대상이다. 스프링은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을 보면 @Component 가 붙어있는 클래스들을 쭉 돌아서 찾아내고 스프링빈으로 등록한다. 스프링 빈에 등록된 빈들..

Spring/Spring 2021.08.15

DI와 스프링빈

Controller : 컨트롤러를 통해서 외부 요청을 받고 Service : 서비스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만들고 Repository : 리포지토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형화된 패턴 Autowired : 내가 현재 작업하는 클래스에서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현재 작업하는 클래스에서 new 하고 객체를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private final 다른클래스 객체명; 이렇게 선언해 준 뒤에 @Autowired public 현재작업중인클래스(다른클래스 객체명){ this.객체명 = 객체명 } 이렇게 구현하면 된다. => 해당 방법은 Dependency Injection 즉 DI중 생성자 주입이라고 부른다. *DI란? 의존성 주입이라고 표현하고 DI에는 세가지 주입이 있다..

Spring/Spring 2021.08.13

Spring 테스트클래스

*Test클래스 작성 테스트 클래스를 만들고 난 후에 테스트 할 함수 위에 @Test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클래스 옆에있는 화살표를 누르고 Run을 누르면 테스트가 시작된다. 테스트를 진행할 때 given(어느것이 주어지는지) when(이 부분이 실행될 때) then(이러한 결과가 나온다) 이 세개를 주석처리 하고 그 아래 쓰는것이 가독성을 높인다. 객체가 같은지 확인시켜주는 Assertions클래스가 두개 있는데 java.assertj.core.api를 고르면 된다. Assertions.assertThat(기준되는객체).isEqualTo(테스트할객체) 이렇게 넣으면 됨 테스트 하나가 끝날 때 마다 실행하는 @AfterEach 어노테이션이 있는데 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테스트가 하나 끝날때마다 실행시켜준..

Spring/Spring 2021.08.10

자바 Map컬렉션 클래스

*Map 컬렉션 클래스 Map 인터페이스는 Collection 인터페이스와는 다른 저장 방식을 가진다.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ap 컬렉션 클래스들은 키와 값을 하나의 쌍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키란 실질적인 값을 찾기위한 이름의 역할을 한다.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모든 Map컬렉션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요소의 저장순서를 유지하지 않는다. 2. 키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지만, 값의 중복은 허용한다. 대표적인 Map 컬렉션 클래스에 속하는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1. HashMap 2. Hashtable 3. TreeMap *HashMap 클래스 HashMap 클래스는 Map 컬렉션 클래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 중 하나이다. JDK 1.2 부터 제공된 ..

Java 2021.08.10

자바 Stack 과 Queue

*Stack 클래스 Stack 클래스는 List 컬렉션 클래스의 Vector 클래스를 상속받아, 전형적인 스택 메모리 구조의 클래스를 제공한다. 스택 메모리 구조는 선형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후입선출의 시멘틱을 따르는 자료구조이다. 즉, 가장 나중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인출되는 구조이다. Stack 클래스는 스택 메모리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Vector 클래스의 메소드를 5개만 상속받아 사용한다. boolean empty() : 해당 스택이 비어있으면 true를 비어있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함 E.peek() : 해당 스택의 제일 상단에 있는(제일 마지막으로 저장된) 요소를 반환함. E.pop() : 해당 스택의 제일 상단에 있는(제일 마지막으로 저장된) 요소를 반환하고, 해당 ..

Java 2021.08.09

자바 List 컬렉션 클래스

*List 컬렉션 클래스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모든 List 컬렉션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요소의 저장 순서가 유지된다. 2. 같은 요소의 중복 저장을 허용한다. 대표적인 List 컬렉션 클래스에 속하는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1. ArrayList 2. LinkedList 3. Vector 4. Stack *ArrayList 클래스 ArrayList클래스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컬렉션 클래스 중 하나이다. JDK 1.2 부터 제공된 ArrayList 클래스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이용하여 요소를 저장한다. ArrayList 클래스는 배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덱스를 이용해 배열 요소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배열은 크기를 변경할 수 없는 인스턴스이므로, 크기를 늘리기 위해서..

Java 2021.08.09

자바 제네릭

자바에서 제네릭(generic)이란 데이터 타입을 일반화한다(generalize)는 것을 의미한다. 제네릭은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컴파일시에 미리 타입 검사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1. 클래스나 메소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2. 반환값에 대한 타입 변환 및 타입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제네릭의 선언 및 생성 자바에서 제네릭은 클래스와 메소드에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선언할 수 있다. class MyArray { T element; void setElement(T element) { this.element = element; } T getElement() { return..

Java 2021.08.09

자바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자식 클래스가 여러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을 수 있다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클래스를 이용하여 다중 상속을 할 경우 메소드 출처의 모호성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자바에서는 클래스를 통한 다중 상속은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중 상속의 이점을 버릴 수는 없기에 자바에서는 인터페이스라는 것을 통해 다중 상속을 지원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란 다른 클래스를 작성할 때 기본이 되는 틀을 제공하면서, 다른 클래스 사이의 중간 매개 역할까지 담당하는 일종의 추상클래스를 의미한다. 자바에서 추상 클래스는 추상 메소드뿐만 아니라 생성자, 필드, 일반 메소드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는 오로지 추상 메소드와 상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Java 2021.08.09

자바 추상클래스

*추상 메소드 추상 메소드란 자식 클래스에서 반드시 오버라이딩 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를 의미한다. 자바에서 추상 메소드를 선언하여 사용하는 목적은 추상 메소드가 포함된 클래스를 상속받는 자식 클래스가 반드시 추상 메소드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모듈처럼 중복되는 부분이나 공통적인 부분은 미리 다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고, 이를 받아 사용하는 쪽에서는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만을 재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배포 등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상 메소드는 선언부만이 존재하며, 구현부는 작성되어 있지 않는다. 바로 이 작성되어 있지 않은 구현부를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자바에서 추상 메소드는 다음과 같은 문법으로 선언한다. abstract 반환타입 메..

Java 20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