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캐싱 솔루션으로 Redis를 사용하고 있다면 Redis가 장애상황으로 죽어버리는 경우 RDBMS에 부하가 심하게 발생하여 RDBMS까지 연쇄적으로 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이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dis를 이용해서 캐싱 솔루션을 도입했고 결과적으로 RDBMS의 부하를 30퍼센트 이상 줄이기도 하였습니다. 이 30퍼센트라는 수치는 결코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Redis의 장애상황에 대한 대비책이 있어야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Redis가 장애시 RDBMS의 연쇄적인 장애를 대응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dis의 가용성을 높이자! 흔히 생각할 수 있는 방법으로 Redis를 죽지않게 관리하는 것입니다. Redis에는 두가지 배포 방식이 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