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선 윈도우에서 도커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알려지기로는 도커는 리눅스 환경에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신입 기준 러닝커브가 있는 편이라고 하죠. 어? 그럼 윈도우에선 어떻게 동작하지? 바로 WSL 이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됩니다. WSL은 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의 약자로 쉽게 말해서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제 WSL을 이용해서 윈도우에서 도커를 사용해봅시다. 윈도우에서 도커 설치 우선 WSL2를 다운받아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윈도우 터미널인 power shell이라는 것을 다운받아야 하는데요. 파워 쉘은 다운받기 정말 간단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받으면 됩니다. 파워 쉘 다운 저는 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