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2

MSA에서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설계해보기 (RDBMS)

가트너의 MSA 아키텍처에서 보면 MSA를 3티어 아키텍처로 두고 여러개의 파트로 분리해놓은 것을 보고 일단 데이터베이스부터 설계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MSA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제가 중요하게 생각한 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RDBMS는 거대한 상태 덩어리이므로 stateless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k8s에 적합하지 않다.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는 클러스터 외부 베어메탈 머신에서 돌아가야한다. 이런 상황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부에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 해야한다. 마스터 - 슬레이브 아키텍처로 마스터 노드에선 쓰기 작업을, 슬레이브 노드에선 읽기 작업을 해야하며 마스터 노드의 장애시 슬레이브 노드가 마스터 노드로 승격되어야한다. 되도록이면 Automatic Failover를 ..

DevOps/사고실험 2025.06.21

MSA 사고실험 시작

MSA 사고실험 시작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MSA에서 아키텍처 설계를 해보려고 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k8s정도는 한번 구축해보는게 이해하는것도 편하고 여러모로 쓸모 있지만 MSA라는 거대 아키텍처는 하나하나가 모여 거대한 아키텍처를 이루기에 깔짝깔짝 해본다고 해봤다고 하기 좀 뭣 한 것 같습니다. 당연히 Hello World 수준에서는 쉽겠지만 실제 MSA를 적용하고 있는 여러 기업들에서 생기는 문제들은 이런 수준이 아닐 것이므로 Hello World 수준으로 실습하는건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근데 구인공고 여기저기서 "MSA에 대한 이해가 있는 분" 이라고 써놓으니 공부를 안할 수도 없고 곤란하던 차에 든 생각이 바로 "아인슈타인도 상대성 이론을 사고실험으로 만들었는데 나라고 못..

DevOps/사고실험 2025.06.21